석유 및 가스 산업

Flaring and Venting: 연소 및 배출 – 가스 처리와 환경 안전

info-ocean-blog 2025. 7. 14. 10:39

1. 연소 및 배출의 개념과 필요성

석유·가스 생산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배출되는 천연가스는 안전과 공정 안정성, 장비 보호를 위해 연소(Flaring) 또는 배출(Venting) 방식으로 처리됩니다. 플레어링(Flaring)은 생산설비에서 발생하는 잉여 가스를 높은 온도로 연소시켜 이산화탄소와 수증기로 전환하는 공정이며, 벤팅(Venting)은 연소 없이 가스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방식입니다. 생산 유정에서는 압력 과부하나 공정 이상이 발생할 때 신속하게 가스를 제거해야 설비 손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해양 플랫폼과 육상의 대규모 처리 시설에서는 긴급 차단(ESD) 이후 남은 가스를 빠르게 처리하기 위해 플레어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설치됩니다. 이러한 장치는 운영자의 안전 확보뿐 아니라 환경 규제를 충족하는 중요한 설비이므로, 설계 및 운전 단계에서 매우 세부적인 검토가 필요합니다.

 

2. 플레어 시스템의 구성과 작동 원리

플레어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수평 및 수직형 플레어 스택(Stack), 플레어 팁(Flare Tip), 점화장치(Ignition System), 시일링 장치(Sealing Device), 연소 조절 계통으로 구성됩니다. 유정에서 가스가 플레어 헤더를 통해 플레어 스택으로 유입되면, 상부 플레어 팁에서 고온 연소가 이루어지는데, 이때 점화 방식은 조기점화(Pilot Ignition)와 전기 스파크가 결합되어 항상 대기 상태에 있던 가스를 신속히 점화할 수 있도록 유지됩니다. 가스 연소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보조 연료를 분사하거나, 공기를 강제 유입시키는 에어 블로워(Air Blower)가 함께 설치됩니다. 특히 저압 가스의 경우 연소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조기점화 시스템과 보조 가스 주입이 필수적으로 운전됩니다. 플레어링 과정에서 생성되는 고온의 연소 가스는 플레어 스택 상부에서 대기로 확산되며, 플레어 팁의 설계는 연소 효율과 방열 특성을 모두 고려해 제작됩니다.

 

3. 벤팅 공정과 운용 시 고려사항

벤팅은 연소 없이 가스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방식으로, 에너지 소비는 없지만 환경 측면에서 더 큰 영향을 미칩니다. 배출된 가스에는 메탄, VOCs(휘발성유기화합물), 황화합물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온실가스 배출 계수와 악취 문제가 동반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상시적 벤팅은 대부분 국가에서 엄격하게 제한되며, 불가피한 경우에만 허용됩니다. 벤팅을 선택할 수 있는 상황은 저압 설비 점검, 긴급 상황에서의 일시적 압력 방출 등이 대표적이며, 이때도 적절한 확산장치와 제어 밸브를 사용해 배출량과 속도를 제한해야 합니다. 또한 벤팅 계통에는 화염 방지기(Flame Arrestor)와 역화 방지 밸브가 설치되어, 혹시 모를 점화원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환경 규제가 강화되면서, 기존 벤팅 시스템을 플레어링으로 대체하거나, 폐가스를 회수해 압축·재활용하는 방식으로 점차 전환하는 추세입니다.

Flaring and Venting: 연소 및 배출

 

4. 환경 규제 및 저감 기술

플레어링과 벤팅은 공통적으로 온실가스 배출과 환경 영향이 크기 때문에, 각국의 규제기관에서는 배출 기준과 운전조건을 엄격히 관리하고 있습니다. 유럽연합(EU)은 플레어링 운영 시 연소 효율을 98% 이상으로 유지할 것을 요구하며, 미국 EPA 역시 일정 규모 이상의 배출량에 대해 의무적으로 계측과 보고를 실시하도록 규정합니다. 특히 메탄 배출량에 대한 글로벌 관심이 커지면서, 벤팅이 아닌 연소 방식으로의 대체가 강력히 권장되고 있으며, 탄소세 부과 대상이 되는 경우도 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운영자는 플레어 가스 복구시스템(Flare Gas Recovery Unit)을 설치해 연소 가스를 재압축하거나, 저압 가스를 집열해 연료로 재이용하는 방안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신 스마트 플레어 시스템은 연소 온도, 산소 농도, 연소율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자동으로 공기 공급량과 점화 조건을 조정하여 연소 효율을 최적화합니다.